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세금신고 및 환급 정보

부가세 신고, 홈택스로 혼자서 하는 방법 총정리 (초보자용 가이드)

by inpo-happy-blog 2025. 4. 1.

부가가치세 신고, 꼭 세무사에게 맡겨야 할까요?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은 홈택스를 활용하면 혼자서도 충분히 부가세 신고를 마칠 수 있습니다.

 

특히 프리랜서, 1인 사업자처럼 모든 일을 스스로 처리해야 하는 분들에게는
홈택스를 통한 셀프 신고가 세무 비용도 아끼고, 절세 감각도 기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홈택스로 부가세를 직접 신고하는 방법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신고 시기부터 준비사항, 홈택스에서 입력하는 방법, 주의사항까지 모두 알려 드리습니다.

 

 

 

1. 부가세 신고는 언제 해야 하나요?

부가세는 일반과세자 기준 연 2회, 간이과세자는 연 1회 신고합니다.
또한 일반과세자에게는 연 2회 ‘예정고지서’가 자동 발송되어 납부만 하면 되는 구조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는 연 2회, 아래 기간에 진행됩니다.

부가세 신고 대상 기간, 신고. 납부 기한
6개월마다 1회 신고 신고 대상자 신고 대상 기간 신고. 납부 기한
1기 확정신고 일반과세자 당해년도 1월~6월 매출   7월 25일
2기 확정신고 일반과세자 당해년도 7월~12월 매출  1월 25일
간이과세자 신고 간이과세자 전년도 1월 1일 ~ 12월 31일  1월 25일
예정고지(간편) 일반과세자 매년 4월 & 10월 중 고지서 발송 전기분 기준 예정액 고지

※간이과세자는 연 1회만 신고, 일반과세자는 연 2회 신고 + 2회 고지 납부로 총 4회 세금 정산 일정이 생기게 됩니다.

 

2. 부가세 신고 전 준비사항 ✅

신고에 앞서 몇 가지를 미리 준비해두면 홈택스에서 입력할 때 훨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사업자 등록 여부 확인
  • 세금계산서 or 현금영수증 정리
  • 간이과세자 / 일반과세자 구분 확인
  • 매출·매입 내역 엑셀로 정리해두면 편리

📢홈택스에 자동으로 연동되는 자료가 많아서,매입·매출 내역 일부는 ‘미리채움’ 기능으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그래도 누락이 없는지 수기로 꼭 체크해보는 게 좋습니다.

 

3. 홈택스 부가세 신고 5단계

1) 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

2) [신고/납부] → [부가가치세 신고] 선택

3) 과세 유형(일반 / 간이) 및 사업자 선택

4) [일반과세자]는 다음 항목 입력

    ---> 매출세액 입력 (세금계산서/카드매출 등)

    ---> 매입세액 입력 (세금계산서/영수증 등)

    ---> 예정고지세액 조회 및 반영

    ---> 신고서 제출 → 납부서 출력 or 온라인 납부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4. 부가세 직접 신고 시 주의할 점

 

1) 누락된 매입세금계산서 입력 여부 꼭 확인

2) 카드 매출·현금영수증 자동 반영 여부 체크

3) 간이과세자는 매입세액 공제 불가

4) 예정고지세액이 자동으로 차감되는지 확인

 

📢신고 완료 후에는 꼭 부가세 신고 결과 조회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