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정책, 세금신고 및 환급 정보

유튜버, 블로거들 이것 모르면 세금 폭탄!! 자주하는 실수 6가지, 사업자등록하는법까지

inpo-happy-blog 2025. 4. 5. 21:21

유튜버, 블로거들이 수입신고 또는 사업자 등록 안하면 세금폭탄을 맞을수 있습니다.

내가 겪은 아찔한 순간들, 이제 당신은  피할 수 있습니다.

 

 

 

요즘 1인 미디어가 대세죠? 유튜브, 블로그로 수익을 올리는 분들이 정말 많아졌습니다.

수익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가장 무서운 '그 녀석'이 등장합니다. 바로 세금폭탄입니다.

 


저도 처음 블로그 수익이 생겼을 때, 뭣 모르고 있다가 세금 폭탄을 맞았던 아찔한 기억이 떠오릅니다.

그래서 오늘은 유튜버. 블로거들의 가장 흔한 실수들로 인한 피해를 막는 주요 핵심 꿀팁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수익 발생 후 사업자등록 미루기

 

"에이, 아직 50만 원밖에 안 벌었는데 뭐…" 저도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근데 이게 바로 함정입니다.

국세청은 소득이 생긴 시점부터 '사업소득'으로 보거든요. 수익이 작더라도 3개월 내에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블로거로 첫 수익 30만 원 받았을 때 아무것도 안 하고 있다가, 나중에 국세청에서 과태료 통보 받고 식겁했답니다.

2. 부가세 대상 여부 헷갈리기

유튜버나 블로거는 매출이 연 4,800만 원 이상이면 부가세 일반과세자에 해당됩니다.

이걸 모르면 부가세 신고도 안 하고 지나가게 되는데, 이 경우 나중에 가산세까지 더해져서 두 배로 세금 폭탄을 맞게 됩니다.

 


1년 뒤에 5천만 원 넘긴 걸 뒤늦게 알고, 부가세까지 내느라 허리가 휘었어요…라는 분들 정말 많습니다.

여러분들은 나중에 세금폭탄 맞지 않게 미리미리 체크 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면세사업자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적용 기준 일부 비과세 대상 활동
(예: 1인 미디어 창작)
연 매출 8,000만 원 이하 연 매출 8,000만 원 초과
업종코드 940306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921505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921505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부가가치세 신고 ❌ 없음
(단, 사업장 현황 신고는 필수)
✅ 연 1회 (1월) ✅ 연 2회 (1월, 7월)
세금계산서 발행 ❌ 발행 불가 🔸 선택 가능
(발행 시 일반과세자처럼 세금 납부)
✅ 발행 필수
부가세 부담 없음 업종별 부가율
(예: 도소매 1.0%) 적용
매출세액 - 매입세액 공제 후 납부
매입세액 공제 해당 없음 불가능 가능 (장비, 소프트웨어 등)
장점 간편한 신고, 부가세 없음 단순한 계산, 세금 부담 적음 세금계산서 발행 및 공제 가능, 거래처 신뢰도 높음
단점 세금계산서 발행 불가,
외부 거래 제한
공제 불가, 일정 이상 수익 시 불리 세금 신고 복잡, 납부 부담 큼
추천 대상 비영리 콘텐츠 제작자, 수익 소액 소규모 유튜버/블로거 수익 높은 전문 유튜버/블로거, 기업 협업 많은 경우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3. 종합소득세 신고 누락하기

종합소득세는 매년 5월에 신고합니다.

"유튜브 수익은 이미 구글에서 세금 뗀 거 아닌가요?" 이렇게 착각하기 쉽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익, 협찬비, 원고료 등은 전부 종합소득세 대상입니다.

 

수익이 여러 채널에서 발생하면 직접 합산해서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 안 하면? 추징세+가산세+불이익 3종 세트로 세금폭탄을 맞게됩니다.

4. 광고·협찬 수익 분리 처리 실수

"광고는 사업소득, 협찬은 기타소득?" 이런 식으로 복잡하게 따지다 보면 혼선이 생깁니다.
모든 수익은 일단 '사업소득'으로 보는 게 기본입니다. 

 

처음에 협찬은 기타소득으로 분리 신고했다가, 국세청에 소명자료 내느라 진땀을 빼기도 합니다.
깔끔하게 정리해서 하나의 사업소득으로 처리하는 게 좋습니다.

5. 경비 처리를 대충 하기

영상 편집 툴, 블로그 스킨 구매, 노트북, 심지어 커피값까지도 '업무 관련'이면 경비로 인정됩니다.
근데 대부분 대충 정리하다 보니, 경비처리 누락으로 세금을 더 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카드 영수증만 믿고 있다가 정산 못 해서 생각도 못한 큰 돈을 세금으로 내야하게 됩니다.
꼭! 가계부나 경비 내역 따로 정리해두세요. 앱이나 엑셀 활용 추천드립니다!

6. 전문가 상담 없이 혼자 해결하기 ,세무서 연락 무시하기

세금이라는 게 생각보다 복잡하고 빠르게 바뀝니다. 국세청 사이트만 봐서는 쉽게 이해하기 어렵기도 합니다.
초반엔 아끼려는 마음에 혼자 해결하려 했지만, 결과는 '더 낸 세금'이 되고 맙니다.

전문 세무사와 상담하고 1년에 1~2번 점검 받으며, 절세 꿀팁까지 챙겨가시면 마음도 편안해집니다.

 

국세청에서 오는 우편이나, 메일을 잘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1~2만 원 아끼려다 몇십만 원 날릴 수 있습니다.

 

국세청에서 오는 문자나 우편, 그냥 무시하고 넘긴 적 있으신가요?

그랬다가 '세무조사 예고' 문자를 받게 되는 최악의 상황까지 처할 수 있습니다.
세무서 연락은 무조건 열어보고, 바로 조치하시기 바랍니다. 잘 모르겠을땐  세무사에게 문의! 절대 미루지 마시기 바랍니다.

FAQ

유튜브 수익이 100만 원밖에 안 되는데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네, 금액이 작더라도 과세 대상입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있어요.

사업자등록 없이 수익 받으면 어떻게 되나요?

3개월 내 미등록 시 과태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세청에 바로 신고하는 게 안전해요.

구글 애드센스 수익도 신고 대상인가요?

그렇습니다. 해외 수익도 모두 종합소득세 대상입니다.

협찬 물품도 수익으로 보나요?

네. 현금뿐만 아니라 협찬 제품도 시가로 평가해 수익으로 봅니다.

세무사는 꼭 써야 하나요?

필수는 아니지만, 수익이 커지거나 복잡해질수록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요즘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혹시 지금 첫 수익이 생기셨나요? 아니면 이미 어느 정도 벌고 계신가요?
처음이라 헷갈리는 점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 가장 궁금하신가요?
이번 글을 통해 세금신고, 사업자 등록 미루지 말고 제대로 해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