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세금신고 및 환급 정보

부가가치세 신고 쉽게 끝내는 법

by inpo-happy-blog 2025. 3. 28.

부가가치세 신고, 납부까지 한방에 알기

 

매년 1월과 7월, 이 두 달은 사업자에게 ‘세금 시즌’으로 불립니다.
그중에서도 부가가치세 신고는 반드시 챙겨야 하는 중요한 일정입니다.

 


특히 1인 자영업자나 프리랜서처럼 혼자서 모든 걸 처리해야 하는 경우, 신고를 놓치면 가산세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나는 간이과세자인가요? 일반과세자인가요?”
“홈택스에서 어디를 눌러야 하나요?”
이번 글에서는 그런 질문들을 하나하나 해결해드리겠습니다.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1. 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

사례 하나만 보겠습니다.
온라인 셀러 A씨는 연 매출이 약 4천만 원이고, 직원 없이 혼자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대부분은 ‘간이과세자’로 분류됩니다.

  • 간이과세자: 연 매출 8천만 원 미만, 신고 연 1회
  • 일반과세자: 연 매출 8천만 원 이상, 신고 연 2회 + 환급 가능

 

 

자신의 과세 유형은 홈택스 → 사업자 정보 조회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 파악한 후에 신고 방식도 달라지니, 가장 먼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홈택스 신고 5단계 

홈택스 신고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합니다.

① 홈택스 로그인 후 ‘부가가치세 신고’ 클릭
② 사업자 유형 자동 선택
③ 매출 내역 입력
④ 매입 내역 입력
⑤ 계산된 세액 확인 후 제출

 

 

누락분이 없는지 잘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3. 종이 세금계산서, 종이 영수증 챙기기

직접 받은 종이 영수증이나 종이세금계산서도 매입세액 공제 대상이기 때문에,
미리 챙겨 두시기 바랍니다.


누락또는 신고 마감기한을 잘 지켜 가산세를 받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4. 부가가치세 신고 체크 리스트 

부가세 신고 직전, 꼭 확인해야 할 리스트를 정리해드립니다.

 

1)홈택스에서 ‘신고도움 서비스’ 확인하기
2)종이세금계산서 포함, 모든 매입자료를 챙기기
3)신고 마감일(7월 25일 or 1월 25일) 전에 미리 자료 체크해두기

4)납부 마감일(7월 25일 or 1월 25일) 전에 미리 자료 체크해두기

 

부가세 신고 납부 기간

 

부가가치세 신고는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작은 실수 하나가 가산세 또는 환급 누락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지금, 홈택스에 접속해서 내 사업자 정보를 먼저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